본문 바로가기
예술 심리

학교에서 스트레스를 받는 아이를 위한 부모의 역할

by 돌돌콩 2025. 6. 15.
반응형

르베미술학원

— 학업·교우·교사와의 갈등에 대처하는 방법

“학교에 가기 싫어.”
“친구가 나랑 안 놀아줘.”
“선생님이 무서워.”

아이가 이렇게 말할 때, 부모로서 어떻게 반응해야 할까요?

학교는 아이들이 하루의 대부분을 보내는 중요한 공간입니다. 하지만 그만큼 다양한 스트레스가 발생하는 곳이기도 합니다. 학업 부담, 친구 관계의 어려움, 교사와의 갈등 등은 어린 마음에 큰 무게로 다가올 수 있습니다.

오늘은 아이가 학교에서 받는 스트레스를 어떻게 알아차리고, 부모가 어떤 방식으로 도와줄 수 있는지를 알아보겠습니다.


1. 🎓 학업 스트레스: 성적보다 ‘과정’을 봐주세요

시험, 숙제, 발표 등은 아이에게 긴장과 부담을 주는 대표적인 요소입니다.
부모가 성적이나 결과만 강조할 경우, 아이는 “실패하면 사랑받지 못한다”는 불안을 느끼게 됩니다.

부모의 역할

  • 결과보다 노력에 집중한 칭찬하기
    예) “틀렸지만 너답게 열심히 했구나.”
  • 학습 계획을 함께 세우고 현실적인 목표 정하기
  • 실수는 성장의 일부임을 알려주기
    예) “실수하면서 배우는 거야. 엄마도 많이 틀렸어.”

Tip: 아이가 공부에 흥미를 잃었다면, 놀이처럼 접근해보세요. 퀴즈, 그림, 이야기 등을 활용한 공부법이 도움이 됩니다.


2. 🧒 친구 관계 스트레스: 중재보다 ‘경청’이 먼저

“친구가 놀리거나 무시해요.”
이럴 때 많은 부모들은 “그냥 신경 쓰지 마.” 또는 “그 친구랑 놀지 마.”라고 반응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아이는 조언보다 ‘공감’을 원합니다.

부모의 역할

  • 감정 공감 먼저 해주기
    예) “그런 말을 들으면 정말 속상했겠다.”
  • 아이 스스로 문제를 정리하게 돕기
    “그 친구는 왜 그런 말을 했을까?”, “넌 어떻게 반응했어?”
  • 사회적 기술 가르치기
    간단한 대화 연습, 거절하는 방법, 다른 친구와 연결해주기 등

Tip: 역할극을 통해 친구와의 갈등 상황을 연습해보는 것도 아이에게 큰 도움이 됩니다.


3. 👩‍🏫 교사와의 갈등: 감정보다 ‘사실’을 확인하세요

간혹 아이가 교사와의 관계에서 불편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럴 때 부모가 감정적으로 개입하면 오히려 상황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부모의 역할

  • 아이의 이야기를 충분히 듣되, 사실 관계는 차분히 파악
    예) “선생님이 어떤 말씀을 하셨는데 기분이 어땠어?”
  • 교사와의 소통은 감정보다는 협조의 관점으로 접근
    “아이에게 이런 상황이 있었는데, 선생님과 함께 조율하고 싶습니다.”
  • 아이에게도 교사를 존중하는 태도를 가르치기
    권위에 무조건 복종하라는 뜻이 아니라, 서로 존중하는 법을 배우는 기회로 삼는 것이 중요합니다.

Tip: 아이의 이야기를 교사에게 전달할 때는 ‘비난’이 아닌 ‘공유’의 톤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4. 🧭 아이의 회복탄력성을 키우는 부모의 태도

학교에서 스트레스를 받는 것은 피할 수 없는 일입니다. 중요한 건, 아이가 이런 스트레스를 스스로 조절하고 회복할 수 있는 힘을 기를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입니다.

회복력 키우는 부모의 자세

  • 아이의 감정에 반응하되 과잉 개입은 피하기
  • 문제를 대신 해결해주기보다는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 “넌 이겨낼 수 있어.”라는 믿음을 전달하기
  • 아이의 작은 성장을 꾸준히 인정하고 칭찬하기

마무리하며

학교에서의 스트레스는 성장의 한 과정입니다.
아이에게 중요한 것은 ‘문제가 없도록 해주는 부모’가 아니라, ‘문제가 있어도 함께 있어주는 부모’입니다.

“오늘 어땠어?”
“힘든 건 없었어?”
이런 질문이 아이에게는 큰 위로가 될 수 있습니다.

아이가 마음 편히 기댈 수 있는 부모,
문제를 함께 나눌 수 있는 부모가 되어주세요.
그 따뜻한 존재만으로도 아이는 학교생활을 견뎌낼 수 있습니다.

반응형